본문 바로가기

군사13

코브라 헬기사고 2012. 8. 16.
[스크랩] [추적]공격헬기사업 ‘수입이냐 개발이냐’ [추적]공격헬기사업 ‘수입이냐 개발이냐’ 미국 아파치 중고헬기 도입 땐 국내 방위사업 발전 기회 상실 항공작전사령부 코브라 공격헬기가 육군 제20기계화보병사단 장병들을 엄호하고 있다. <남호진 기자> "수입이냐, 개발이냐.” 국방부가 지난해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논란이 있던 미 육.. 2010. 3. 26.
[스크랩] 북한의 핵과 미사일, 대응 수단은 EMP 폭탄 뿐 북한의 핵과 미사일, 대응 수단은 EMP 폭탄 뿐 EMP(Electromagnetic Pulse) 폭탄이란? 강력한 전자기 펄스를 발생시켜 지하 수십m 안의 전자기기까지 모든 전자회로를 녹여버림. 인명을 다치지 않고 핵시설의 기폭장치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 辛成澤 미국 몬트레이 국제학대학교 교수 ⊙ 1951년 경남 양산 출생. .. 2010. 3. 26.
[스크랩] 북한 핵탄두 소형화 능력 추적 북한 핵탄두 소형화 능력 추적 “리튬6 확보해 폭발력 강화 시도 확인… 노동미사일 탑재는 이미 가능” 황일도│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hamora@donga.com ● 대미 핵 억제력의 정점 ‘미사일 장착 핵탄두’ ● 대포동 1호와 스커드, 직경 작아 후보군 제외 ● 노동미사일 사거리 절반 줄이면 탑재중량 두 .. 2010. 3. 26.
[스크랩] 서독 사례로 본 ‘핵 없는 핵 보유’ 가능성 서독 사례로 본 ‘핵 없는 핵 보유’ 가능성 한국군 미사일에 美 핵탄두 장착하는 ‘이중열쇠’ 방식 검토해야 홍순명│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전문위원 sergeyevich@gmail.com 20세기 후반, 핵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던 서독의 시도는 미국이 핵우산 운용에서 동맹국에 어느 선까지 양보할 수 있는.. 2010. 3. 26.
[스크랩] 비밀자료로 본 北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미스터리 비밀자료로 본 北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미스터리 금강산 관광대금 중개한 조광무역, 핵개발용품 은밀 구입 이정훈│동아일보 출판국 전문기자 hoon@donga.com 중국 방공식별구역 침범 문제 때문에 편대군(群) 공격이 어려운 지점에 건설된 북한 동창리 발사장. 북한이 이렇듯 절묘한 곳을 선택해 놀랄 만.. 2010. 3. 26.
[스크랩] MB, 아프간 美軍에 ‘보급 공항’ 비밀리 제공 MB, 아프간 美軍에 ‘보급 공항’ 비밀리 제공 정부 돈 1억1760만달러로 미국에 통 큰 선물 허만섭│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 “중앙아시아 보급공항 폐쇄…아프간 미군 위기” ● MB, 5월 ‘우즈벡 나보이공항 현대화’ 발표 ● 수출입은행 통해 정부예산 대거 지원 ● “한국, 나보이 통해 .. 2010. 3. 26.
[스크랩] 공격헬기 최초모델과 최강모델 [마니아]공격헬기 최초모델과 최강모델 1960년대 초반 베트남전쟁에서 수송헬기를 엄호하기 위해 미국 벨(Bell)사의 UH-1B 헬기에 기관총과 로켓을 장착해 사용했던 것이 공격헬기의 시초다. 과거 군용헬기는 성능이 미약해 단독 작전수행에 한계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급속한 과학기술을 접목해 필수 무.. 2010. 3. 26.
[스크랩] 납북 연안호는 GPS 재머(정보수신 방해)에 당했다? 납북 연안호는 GPS 재머(정보수신 방해)에 당했다? GPS 고장 NLL 침범 이유 아리송 … 北, 러시아제 성능시험 가능성 2003년 이라크전에서 미국의 첨단 유도무기를 무력화했던 러시아제 GPS 재머. 배낭 크기의 이 재머가 작동되면 직경 150~200km 지역의 GPS 수신기는 먹통이 된다. 개성에 억류됐던 현대아산 직.. 2010. 3. 26.
[스크랩] 前 국군정보사령관이 말하는 북파공작부대의 어제와 오늘 前 국군정보사령관이 말하는 북파공작부대의 어제와 오늘 “독 오른 살쾡이의 눈빛… 훈련 참관하던 국회의원이 졸도했다” 북파공작부대. 그들이 존재했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게 됐지만, 정작 그 실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은 여전히 안개 속이다. 북파공작원 문제가 첨예한 이슈로 떠올랐던.. 2010. 3. 26.
[스크랩] 가열되는 東北亞의 해군력 건설 경쟁 [가열되는 東北亞의 해군력 건설 경쟁] 한국 해군, 타이완보다 총 t수에서 뒤져 東北亞의 군사력 증강은 해양영토 분쟁, 자원확보, 원료와 완제품 수출입을 위한 해상로(sea lane)의 보호를 위한 해군력 경쟁으로 이어져. “아시아 국가들의 해군력 증강은 수세기 전 유럽이 세계 覇權을 향해 나가던 시절.. 2010. 3. 26.
[스크랩] 5027 대체하는 ‘新연합작계 5012’ 논란 5027 대체하는 ‘新연합작계 5012’ 논란 美 태평양사령부 관할이지만 한국군 고유 작계? 황일도│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한반도 전쟁을 가정해 한미 양국군이 작성한 전면전 작전계획 5027. 2012년 4월 전시작전통제권이 한국군으로 전환함에 따라 이 작계5027을 대체할 새로운 작계 작성 작업이 급물살을 .. 2010. 3. 26.
[스크랩] 국정원이 청와대에 보고한 남북한 군사력 비교 국정원이 청와대에 보고한 남북한 군사력 비교 “남한 단독으로도 10% 우세 주한미군 포함하면 압도적 우세” ●핵심 군사시설 핵 피격 시뮬레이션 포함 ●국방연구원 박사급 전문가 10여 명 투입된 1년 프로젝트 ●남미에서 도입된 무기 리스트 등 국정원 최신정보 반영 ●“연간 투자비는 1980년대, .. 2010.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