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미래덩굴
청미래덩굴은 우리 나라 산야에 흔히 자라는 덩굴성 떨기나무다
가을철에 빨갛게 익는 열매가 아름다워 요즘 꽃꽂이 재료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열매를 따먹기도 하는데 맛은 별로 없다.
잎은 넓은 달걀꼴로 윤이 반짝반짝 나고 줄기에는 가시와 덩굴손이 있다.
꽃은 붉은색을 띤 녹색으로 여름철에 조그맣게 핀다. 청미래덩굴은 이름이 많다.
줄기는 마디마다 굽으면서 2m 내외로 자라고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원형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두껍고 윤기가 난다.
잎자루는 짧고 턱잎이 칼집 모양으로 유착하며 끝이 덩굴손이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1cm 정도이고 9~10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명감 또는 망개라고 한다. 열매는 식용하며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뿌리를 이뇨 ·해독 ·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요통 ·종기 등에 사용한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성병 치료에 효과가 뛰어나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상당히 굵고 크다.
옛날 우리 나라나 중국에서 흉년이 들었을 때 구황식품로 흔히 먹었다.
녹말이 많이 들어 있어서 충분히 식량 대용으로 쓸 만하다.
신선이 남겨 놓은 음식이라 해서 선유랑(仙遺糧)이라고 부르고 넉넉한 요깃거리가 된다.
뿌리를 캐서 잘게 썰어 2∼3일 동안 물에 담가 쓴맛을 뺀 다음 쌀이나 다른 곡식에 섞어서 밥을 지어먹는다.
청미래덩굴 뿌리를 오랫동안 먹으면 변비가 생겨 고생하는 수 있는데 쌀뜨물과 같이 끓이면 그런 일이 없다고 한다.
청미래덩굴은 온갖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청미래덩굴 뿌리에는 사포닌이 4%쯤 들어 있으며 이 사포닌성분들이 몸 안에 있는 물기를 내보내고 독을 풀며 열을 내리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피를 맑게 하는 등의 약리작용을 하며 땀을 잘 나게 하고 소변을 잘 보게 하며 백 가지 독을 푼다.
중금속 오염에 효과가 있다.
청미래덩굴은 수은이나 니켈, 카드뮴 같은 중금속독을 비롯한 온갖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특히 수은중독을 푸는데 최고의 명약이라 할 만하다.
요즈음 사람의 몸은 거의 모두가 수은에 오염되어 있으며,
또 요즘 발생하는 갖가지 암이나 당뇨병 같은 만성병들이 거의 수은중독이
그 원인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 밖에 알칼로이드, 페놀류, 아미노산, 유기산, 당질, 정유성분 등이 들어 있다.
씨앗에는 조지방이 10%쯤 들어 있다.
잎에는 루틴이 들어 있어 고혈압 치료에 상당한 효험이 있다.
효능
간경화, 관절염, 구토감소, 근골경련동통, 근골을 못 펼때, 근골을 강하게 하는 데, 급만성 신염, 급성 백혈병, 나력, 당뇨병, 대하증, 렙토스피라병, 만성 피부병, 매독, 발이 부르텃을 때, 발저림, 방광염, 복통, 부스럼, 부인 홍붕 백대하, 비장과 위를 튼튼 하게 살충, 설사, 소아감적, 소화불량, 수은 중독, 수은중독성 피부염, 수종, 식욕증진, 신우신염, 신장결핵, 아토피 피부병, 옹종, 요독증, 유선염, 이뇨, 이질, 임파선염, 장염, 적혈구 헤모글로빈 증가, 정창, 종독, 종기. 지방간, 지통, 창독, 체력증강, 출혈, 콩팥염, 탕상, 통풍, 풍, 풍습, 풍습성 관절염, 피부염, 해독, 해열,항암(결장암, 비인암, 식도암, 위암, 자궁암, 직장암, 코암, 폐암), 홍역 등......)
청미래덩굴은 항암작용이 세다.
민간에서 위암, 식도암, 간암, 직장암, 자궁암 등의 갖가지 암에 까마종, 부처손,
꾸지뽕나무 등과 함께 달여서 먹고 좋은 효과를 본 보기가 적지 않다.
항암본초학에도 청미래덩굴을 달인 물이 암세포를 억제하는 힘이 있다고 하였고
중국이나 북한에서는 암 치료에 청미래덩굴 뿌리를 흔히 쓴다.
동물실험 결과 청미래덩굴이 암에 걸린 흰생쥐의 종양억제효과는 30~50%, 생명연장률은 50% 이상이었다고 한다.
청미래덩굴 잎을 담배끊는 약으로 쓸 수도 있다.
잎을 담배처럼 말아서 불을 붙여 피우면 니코틴독이 풀리고 금단증상도 나타나지 않는다. 대개 한두 달쯤 피우면 담배를 완전히 끊을 수 있다.
<본초강목>
요즈음 여자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 매독 같은 성병이 많이 유행하고 있다.
약을 써서 고친 뒤에 자주 재발하곤 하므로 오래 고생을 하게 되는데 이럴 때
청미래덩굴 뿌리를 쓰면 효과가 좋다고 적혔다.
매독뿐 아니라 임질, 태독, 악창 등에 두루 효과가 있다.
<동의학사전>
“맛은 슴슴하고 성질은 평하다. 위경, 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독을 푼다.
뼈마디가 아픈 데, 매독, 연주창, 헌데, 악창, 수은 중독 등에 쓴다.
하루 10∼15그램을 달인 약, 약술, 가루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청미래를 이용한 치료방법>
매독이나 종기, 악창, 만성피부염, 수은 중독으로 인한 피부염, 풍습성관절염,
신장염, 방광염, 소화가 잘되지 않고 설사가 날 때, 간염, 간경화, 지방간
하루 10∼30그램을 달여 먹는다.
잘게 썰어 말린 것 15∼30그램을 물 1되쯤을 붓고 그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약한 불로 달여서 그 물을 하루 3번 밥 먹기 30분전에 마시고 뜨거운 방에 홑이불을 덮고 누워 땀을 흠뻑 낸다. 그렇게 하면 몸 안에 있는 온갖 독이 몸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매독으로 의심이 갈 정도이거나 매독균이 잠복되어 있는 상태이거나 겉으로 심하게 드러나지 않았을 때에는 청미래덩굴 뿌리 30~60g에 물 1되를 붓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약한 불로 달여서 2개월쯤 복용하면 대개 좋은 효과를 본다.
어린이나 청소년의 선천성 매독 : 청미래덩굴 뿌리 30g에 금은화, 생지황, 백선피, 감초 각 10g씩을 넣고 달여서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마신다.
매독으로 인한 여러 증상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혈청검사에서도 매독균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수은중독 : 청미래덩굴 뿌리 15~30g에 물 1되를 붓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마시면 된다. 웬만한 수은중독은 3~5일쯤 복용하면 풀린다. 요즘은 거의 모든 사람의 몸이 수은으로 오염되어 있으므로 어떤 사람이든지 늘 조금씩 차로 마시면 수은중독을 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방할 수 있다.
<망개떡>
망개떡은 물에 불린 쌀이나 찹쌀로 가루를 만들어 쪄서 떡을 만들고 얇게 빼낸 떡 위에 거피 팥소를 넣고 청미래덩굴(망개) 잎 2개로 감싸서 만든다.
청미래(망개)잎으로 떡을 싸서 찌면 서로 달라붙지 않고 여름철에도 오랫동안 쉬지 않으며 향기가 배어 독특한 맛이 난다.
제철엔 말 할 것도 없고, 철이 지나 나중에 쓸 청미래덩굴 잎은 7·8월에 생잎을 미리 따서 저장해 두었다가 겨울까지 쓴다한다.
실제로 조상들은 망개떡을 5월 단오 때부터 만들어 먹기 시작하여 한겨울까지 만들어 먹었다.
보통은 청미래덩굴(망개) 생잎을 소금에 절인 뒤 물에 깨끗이 씻고 뜨거운 증기에서 쪄낸 다음, 쪄낸 잎을 다시 깨끗한 수건으로 한 장 한 장 닦고 깨끗하게 싸서 냉장 보관하여 사용하는데 일단 이렇게 쪄낸 잎은 3일을 넘기지 않아야 한다.
또한 겨울철 등 나중에 사용할 잎은 소금에 절인 채 잘 보관해두고 사용해야한다.
"경남 의령"에는 전통한과와 함께 이 망개떡이 토속음식으로 지정하고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채취시기
이른봄이나 가을에(2월이나 8월에) 뿌리를캐서 깨끗이 씻은 다음 잔뿌리를
다듬고 적당히 토막내어 햇볕에 건조시킨다
기타
어린 순은 나물로 먹으며 열매는 식용한다.
옛날 흉년때에는 뿌리줄기를 캐서 녹말을 만들어 먹었다고한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재곤의 허리통증 다스리기 (0) | 2010.09.02 |
---|---|
허리통증 다스리기 (0) | 2010.09.02 |
신장을 튼튼하게하는 광나무 (0) | 2010.09.01 |
[스크랩] 개다래(목천료) (0) | 2010.08.27 |
삼의 종류, 효능 (0) | 2010.08.25 |